흐름을 이해하면서 기억하고 있어요 고려왕 차례
고려왕 족보의 흐름을 이해하면서 기억하고 있습니다
고려시대는 한국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삼국시대 다음으로 이어지는 조선시대로 들어가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5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고려시대에는 어떤 왕이 있었을까요?
고려왕의 순서를 알아두면 한국사를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미 우리는 조선왕조의 족보인 [태정태세 문단 세례성연 중의 인명선...]을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이는 아무래도 책을 통해 공부한 영향보다는 조선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드라마가 많았다.보니 이에 대한 왕의 순서가 자연스럽게 공부가 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렇게일반적으로왕조의순서나계보를외울때는각왕의머리글자를따서외웁니다.무작정외우는것보다는전체흐름을알고외우는게좋죠.^^
고려왕의 계보를 볼까요?
사실 이렇게 외워두면 어떻게 구분해서 외울까 고민하고 외우면 이 순서가 맞을까 헷갈리기도 합니다.500년이나 지속된 고려임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왕이라는 이름이 선명하게 떠오르지 않아 더욱 그럴 겁니다.
하지만각왕의대표적인사건이나흐름을공부하거나고려왕계보의특징을알게되면쉽게기억할수있어요.
먼저 태조를 제외하고 왕묘호 이후에는 종으로 끝을 맺습니다.[태조 - 혜정 - 정 - 광정 - ] 처럼요!태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지막 종으로 끝난다는 사실 기억하시기 바랍니다.다만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고 나서는 '왕'으로 끝나니 같이 알아두세요~!
몽골간섭기에들어와서앞에는충-자가붙게됩니다.그래서 [충렬-충선-충숙-충혜-충목-충정] 총 6왕으로 기억해주시면 됩니다반원자주를 외치던 공민왕이 죽으면서 고려의 운명도 기울게 되죠.고려 왕순(계보) ● 1대 : 태조(918년-943년) ▷ 왕건. 고려 건국·북진정책·혼인 관계에 의한 호족 세력을 포섭●2대: 혜종(943년~945년)▷왕위 쟁탈전에 말려든다●3대: 정종(945년~949년)▷서경 천도 실패●4대: 광종(925년~975년)▷노비안검법 제정. 과거제도 실시●5대째: 경종(975년~981년)▷전시과 제정●6대째: 성종(981년~997년)▷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채택하고 합리적인 국가운영체계의 기틀을 마련하며●7대째: 목종(997년~1009년)●전시과 개정●8대째: 현종(1009년~997년~997년)●10월) 유학 장려·불교 신봉●제14대:헌종(1094~1095년)▷이자의의 난. 14세에 요절●제15대 : 숙종(1095년~1105년)▷왕위찬탈. 윤관을 임명하여 동북 9성을 개척. 강한 군사력을 가지다●제16대: 예종(1105~1122년)▷예 중시. 학문 진흥에 힘썼다 ● 제17대 : 인종(1122년~1146년) ▷ 김부식에게 삼국사기를 편찬하게 했다.● 18대 : 의종(1146년~1170년) ▷ 무인의 난(무신정변) 발생. 무인들에 의해 폐위됨 ● 19대 : 명종 (1170년 ~ 1197년) ▷ 몽골 (최충헌에 의하여 폐위됨 ● 20대 : 신종 (1197년 ~ 1204년) ▷ 백성 죽이고 남발생 ● 21대 : 희종 (1111년 ~ 124년 ) ▷ 항복을 입고 127년 ~ 12204년) ▷ 민살하고 남발생 ● 21대 : 희종 (11대 : ● 희종 원간섭의 시작(친몽정책)●제25대:충렬왕(1274년~1308년)▷최초의 원부마●제26대:충선왕(1308년~131313년)▷최초의 혼혈왕. 쿠빌라이의 외손자●제27대:충숙왕(131330년~1330년, 1332년~1339년)▷원왕위하락왕위, 제27대:충숙왕위하락왕(133년)▷제27대:충숙왕(1339년)▷원후참고려판 연산군 ● 제29대 충목왕(1339년~1334년) 원자왕에 의해 폐위. 노국공주의 사후 미치광이가 되었다가 죽임 ● 32대: 우왕 (1374년~1388년)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의해 폐위됨 ● 33대: 창왕 (1388년~1389년) ▷ 안산자왕에 세워졌다가 폐위됨 ● 34대: 공양왕 (1389년~1389년) ▷ 고려의 마지막 몽왕과 함께 정조는 모두 끝남왕입니다. 물론 한자는 다르지만요.이름만으로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럴때는3대왕과10대왕의업적을비교해서기억을하시면좋을것같습니다.^^
19대 명종~23대 고종까지는 무인 괴뢰왕이었습니다.왕은 있지만 실질적인 실력자는 무인들에게 있었던 겁니다.그리고 제24대 원종이 몽골에 항복한 후에 왕의 묘호 앞에는 충자가 붙었습니다.
이런 전반적인 흐름을 통해서 공부를 하시면 쉽게 기억하실 수 있을 겁니다.
고려왕은34명이었지만한국사수학능력시험문제를풀때는단4명만기억해도괜찮아요.고려 초기의 왕인 태조 광종 성종, 그리고 고려 후기 왕인 공민왕입니다!이 네 왕들의 각 업적과 특징만은 분명히 공부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