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세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했어요 오늘은 설날도 다가오고 ^^물론 코로나 때문에 이동은 못 하지만 마을 수 계산법 한번 정리해봤습니다.촌간은 친족간의 멀고 가까운 것을 숫자의 무게로 나타내는 것입니다만, 촌간은 「마디촌. 치수 치수 손가락으로 아무래도 치수 수가 적을수록 근친, 치수 수가 많을수록 먼 친척을 의미하게 됩니다.보통우리가아는것은부모님과저는1촌,형제자매는2촌,부부는0촌,이렇게알고있습니다.그런데 형제자매 2촌은 저와 직접적인 관계가 아니라 같은 부모의 자녀이기 때문에 저와 연결되기 때문에 저와 부모 사이의 1촌+부모 형제간의 1촌을 합해서 2촌이 되는 것입니다.직계와 방계가 있는데 직계의 경우는 위아래, 세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조부모, 부모, 나, 자녀, 손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방계의 경우는 형제나 사촌처럼 좌우, 가로 관계로 같은 부모로부터 멀어지는 관계입니다.그래서 '분수'는 방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직계는 '분수'를 쓰지 않고 '세'나 '대'를 씁니다.직계 치수는 묻지 않습니다 그리고 촌수가 짝수라면 저와 같은 항렬이고 홀수라면 저보다 한수 위인 항렬이나 아래 항렬이 되지요.(저보다 한수 위인 경우 삼촌 오촌 칠촌 재정숙)
그럼 직계존속은 나를 기준으로 윗세대의 직계를 칭하고 부모나 조부모 등이 해당되겠죠?직계비속은 나를 기준으로 아래 세대의 직계를 일컫는데, 자녀, 손자 등이 해당됩니다.
->조: 할아버지와 같음. 항렬 학원:부모님 형:나질:내 아이 손자:내 손자와 같은 항렬을 의미합니다
종:4촌 재정:6촌 삼정 : 8촌이에요
그러면 친족간의 호칭에 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특히 명절 같은 경우에는 가까운 삼촌이나 이모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먼 분들도 많이 만나시잖아요.그렇게 부르는 법을 모르면.. 이름도 모르고.. 그렇다고 어머니께서 그분을 부르는 호칭 그대로는 우리가 쓸 수 없어서 참 고통스러울 때도 있어요.그러한 경우에 참고해 주십시오.
저(결혼한 여자)의 기준으로 오빠(시누나) + 오빠 언니(오빠)+부인 아우(스님, 부인) 여동생(아가씨)